양육과 훈련
Nurturing & Training

꿈나무사역 Infant & Elementary
유스그룹 Youth Group
청년부 College & Young Adult
경로대학 Silver College
웨슬리속회 Wesley Class Meeting
성서대학 Bible College
교회생활지침 Church Life Guidance
자료실 Reference Board
        자료실 Reference Board

유대인 단어 이해(ㄱ-ㅎ)-세계 기독교 박물관


<ㄱ>

가르틀(gartl, gartel) : 정통파 유대인들이 기도할 때 허리에 두르는 띠를 말한다. 하루에도 몇 번씩 기도를 하므로 아예 종일 두르고 있기도 한다(A-1, 5-55, 6-8).

게오님(Geonim) : 성경 지식이 풍부한 현자(賢者)를 말하며, 랍비시대 중에서도 AD 640~1038년 시기에 바벨론 탈무드를 유대 공동체에 통용시킨 사람들이다(A-1, 6-35, 7-2, 9-9, 11-33).

게토(Ghetto) : 유대인 대학살 당시, 유대인들을 일정한 구역으로 강제로 모아 격리시킨 유대인 집단 거주 지역을 말한다(8-30).

겟(Get) : 유대인의 이혼 서류를 말하며, 법적 효력을 가진다(2-43, 2-44, 5-47).

경문(經文, Tefilin) : 유대인들이 기도할 때에 이마와 팔뚝에 차는 성경 구절, 또는 그것을 넣은 가죽 상자를 말한다(1-25, 4-3, 5-0, 5-16, 5-17, 5-18).

그니자(geniza) : 낡은 종교적인 책이나 물건을 공동묘지에 묻기 전에 임시로 수집해 두는 통을 말한다. ‘은닉처’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3-90).

 

<ㄷ>

대속죄일(大贖罪日, Yom Kippur) : ‘회개’의 뜻을 가지고 있으며, 하나님께 대한 죄를 회개하고 하나님과 화해하는 날이다. 병자나 유아를 제외한 전 국민이 24시간 동안 금식하며, 가정마다 촛불을 켜 둔다. 가무와 오락뿐 아니라 장례식도 금지되며, 차량 운행도 금지된다. 성경에는 ‘속죄일’로 나오지만, 보통 ‘대속죄일’이라 부른다(A-3, 1-9, 2-14, 3-21, 3-82, 3-83, 5-2, 6-20, 6-37, 7-2, 7-15, 8-2, 9-28, 10-7, 11-0).

대제일(大祭日, The High Holidays) : 유대력 ‘티슈리(티슈레이)’월에 맞이하는 신년과 대속죄일을 말하며, ‘경외의 날들’이라는 표현으로도 쓰인다(3-8, 3-82, 6-4, 7-28, 11-0, 11-10, 12-23).

디아스포라(Diaspora) : 이스라엘 이외의 외국땅에 거주하는 유대인들을 말한다. 신명기 28장 25절의 ‘세계 만국 중에 흩음을 당하고’에서 히브리어 ‘쟈아바’가 헬라어 칠십인역으로 번역될 때 ‘diaspora(흩음)’로 번역된 데서 비롯되었다(A-1, 9-26, 12-26, 12-29, 15-4, 16-7).

 

<ㄹ>

라그 브 오메르(Lag B’Omer) : ‘바르 코크바’ 전쟁에 참여한 랍비 아키바의 제자들이 전염병에 걸렸다가 33일째 되는 날 병세가 호전된 것을 기념하는 날이다(A-3, 2-12, 2-13, 15-0, 15-6). ‘제33일절’편 참조

라디노(Ladino) : 스페인어와 히브리어에 바탕을 둔 중세 히브리어이다. 참고로 독일어와 히브리어에 바탕을 둔 말은 ‘이디쉬’라고 한다. ‘이디쉬’ 참조

라쉬(Rashi) : 11세기의 프랑스의 유대인 지도자 이름이며, Rabbi Shlomo Yitzhaki의 줄임말이다(A-1, 3-32, 5-25, 8-17, 9-28, 11-34).

랍비 아키바(Rabbi Akiba) : 1세기에 로마에 항거하다 순교한 유대교의 위대한 지도자이다(A-1, 2-0, 2-11, 4-7, 7-15, 8-0, 9-50, 15-6). ‘바르 코크바’ 참조

로쉬 하샤나(Rosh Hashana) : 유대력 신년을 말한다(3-83, 11-0, 11-1). ‘신년’ 참조

 

<ㅁ>

마아리브(Maariv) : 저녁 기도시간(7-5, 8-46)

마짜(Matza, Matzot) : 유월절 기간 중에 먹는 음식으로서 누룩이 들어가지 않은 빵 즉 무교병을 말한다(9-13, 9-22, 9-32, 9-41, 9-42, 9-54).

마카비(Maccabees) : BC 165년, 헬라 우상 숭배를 강요하는 시리아 왕 안티오쿠스 4세의 통치에 반발하여 ‘유다 마카비’와 그의 사형제가 반란을 일으킨 사건을 말한다. ‘하누카’ 절기와 관련이 있으며, 유다 마카비가 일으킨 반란을 ‘마카비 혁명’, 그가 다스린 시기를 ‘마카비 시대’라고 한다(13-0, 13-3, 13-4, 13-5).

마프티르(maftir) : 안식일에 읽는 마지막 알리야로서 앞사람이 읽은 알리야와 마지막 구절들이 반복되는 특징이 있다(1-27, 6-26, 6-27).

맥추절(麥秋節, Feast of the Harvest) : 시완월 6일로서 첫 열매를 거두는 절기이다. 샤부옷 또는 칠칠절과 동일한 절기이며, 신약시대에는 오순절로도 불린다(10-1, 12-5).

메노라(Menora) : 예루살렘 성전에 등불을 켜던 일곱 촛대 또는 하누카 절기때 사용하는 여덟 촛대를 말한다(6-2, 6-3, 8-16, 13-0, 13-6, 13-9, 13-10, 13-12).

메주자(Mezuza) : 문설주에 붙이기 위해 성경 구절을 쓴 작은 양피지(羊皮紙) 조각, 또는 그것을 담은 상자를 말한다. 유대인들은 문을 드나들 때마다 메주자를 만지면서 율법을 되새기며, ‘문설주’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5-0, 5-20, 5-30, 5-31, 5-32, 5-33, 5-34, 5-37, 5-39, 5-44, 7-11, 13-10).

모헬(Mohel) : 할례(割禮)를 받는 아이의 포피(包皮)를 자르는 사람을 말한다. 외과 의사는 아니지만, 할례를 집례하는 전문가이다(1-5, 1-6, 1-7, 1-8, 1-14, 1-15).

무교절(無酵節, The Feasts of Unloavened Bread) : 니산월 15일부터 7일간 지키는 절기로서 유월절 다음날에 시작된다. 유대교 3대 절기 중의 하나로서 누룩을 넣지 않은 빵을 먹는 것이 특징이다(A-3, 12-5).

무사프(Musaf) : 안식일과 명절 예배 후반부에 드리는 ‘추가 제물’ 예배를 말한다(6-33, 7-4, 7-6, 11-14, 11-18, 12-20).

미니얀(Minyan) : ‘카디쉬‘를 낭송할 수 있는 성인 열 명 이상의 ’정족수‘를 말한다(3-22, 3-88, 6-34, 6-36).

미드라쉬(Midrash) : 성경의 주석 또는 교훈적인 설명을 실은 유대교 주석집이다. 성경의 깊은 뜻을 교훈적으로 이끌어 낸 사람은 학사 에스라가 그 기원이며, 13세기에 집대성되었다. ‘미드라쉬 라바(Midrash Rabbah)’ 주석집이 가장 방대하며 Pesikta, Mechilta, Sifra, Sifre 등도 있다(7-25, 8-31, 12-27, 13-7).

미쉬나(Mishna) : ‘탈무드’의 첫 번째 부분으로 유대교 율법에 관한한 토라 다음으로 중요한 책이다. AD 220년 랍비 예후다 하나시가 구전되어 오던 율법과 여러 학파에서 많은 사람들이 논쟁을 통하여 얻은 결론들을 편집한 책이다(A-1, 2-45, 5-8, 6-28, 6-31, 9-27, 9-35, 9-54, 10-1, 11-13, 14-5, 14-7, 15-12).

미크바(Mikva, Mikveh) : 유대인들이 절기나 안식일 전에 목욕할 때 사용하는 정결탕을 말한다(5-54, 6-14).

민하(Mincha) : 오후 기도시간을 말하며, ‘제물’이라는 뜻이다(7-5, 8-35).

 

<ㅂ>

바르 미쯔바(Bar Mitzva) : ‘율법의 아들’이라는 뜻으로, 유대인 남자 아이가 성장하여 13세가 되면 가지는 성년식을 말한다(A-1, 1-0, 1-26, 1-28, 1-30, 6-8, 6-21, 6-34).

바르 코크바(Bar Kochba) : AD 135년, 팔레스타인을 점령하고 있던 로마군을 상대로 반란을 일으킨 유대인 반란군을 말한다. 대다수의 반란군은 랍비 아키바의 제자들이었으며, 전염병으로 인해 패배하고 말았다(2-11, 15-11, 16-13).

바벨론 탈무드(Babylonian Talmud) : AD 220~470년 사이에 바벨론 아모라임 학자들이 미쉬나를 연구하면서 거기에 주석이나 해석을 추가하여 만든 책이다. 예루살렘 탈무드를 참고로 하였으므로 예루살렘 탈무드와 내용이 크게 다르지는 않다(A-1, 5-51, 14-19).

바트 미쯔바(Bat Mitzva) : ‘율법의 딸’이라는 뜻으로, 유대인 여자 아이가 성장하여 12세가 되면 가지는 성년식을 말한다. 참고로 여자 아이들은 남자 아이들보다 조숙하므로 1년 앞서서 성년식을 가진다(A-1, 1-0, 1-26, 1-28, 6-21, 6-29, 7-24, 8-35).

베두인(Bedouin tribes) : 중동 지방의 사막 또는 반사막(半沙漠) 지역에서 주로 유목을 하면서 살아가는 아랍계 민족을 말한다(2-17, 5-1).

부림절(Purim) : 에스더서에 나오는 유대인 구원의 날을 기념하는 명절로서 아달월 14일과 15일에 지킨다. 가면을 쓰거나 가장행렬(假裝行列)을 벌이는 등 축제 분위기가 이어진다(A-3, 6-20, 11-17, 11-36, 13-14, 13-18, 14-0, 14-1, 14-5, 15-8).

비마(bima) : 회당의 강단 또는 설교단을 말한다(6-0, 6-33).

 

<ㅅ>

산덱(Sandek, Sandak) : 할례 행사에서 아기를 무릎에 눕혀서 안아 주는 역할을 하는 사람을 말하며, 할례 의식에서 가장 중요한 ‘대부(代父)’ 역할을 한다(1-14, 1-15, 1-16).

산헤드린 공회(-公會, Sanhedrin, the Great Assembly) : 유대인의 최고회의로서 그 기원은 분명치 않으나 헬라 로마시대에 활동이 컸으며 대제사장, 서기관, 장로 등 71명으로 구성되었다. 산헤드린 공회의 대제사장들과 온 공회가 예수를 죽이려고 그 증거를 찾은 적이 있다(마 26:59)(A-2).

샤다이(Shaddai) : 메주자 양피지에 적는 글로써 ‘이스라엘의 문들을 보호하는 자‘ 즉 ‘shomer daltot Yisrael’이라는 히브리어 첫 글자들(쉰, 달렛, 요드)을 따서 만든 단어이며, 메주자 양피지 앞면에 기록되어 있다(5-22, 5-23, 5-34, 5-35, 5-36, 5-37).

샤베스 고이(Shabbes goy) : 율법을 엄격히 지키는 유대인 커뮤니티에서 안식일에 금지된 일을 대신해 주는 비유대인을 가리키는 ‘이디쉬’이다(8-12).

샤부옷(Shavuot) : ‘주(week)‘라는 뜻의 히브리어로서 칠칠절 또는 오순절을 가리킨다(A-3, 10-0, 10-5). ’오순절‘ 참조

샤하릿(Shacharit) : 아침 기도시간을 말한다(6-33, 7-5, 7-30).

성인식(成人式, Confirmation ceremony) : 유대인들의 ‘바르 미쯔바’나 ‘바트 미쯔바’에 해당하는 구미 국가들의 성년식을 말하며, 보통 16세 전후의 나이에 행한다(1-26, 1-27, 1-28, 1-29, 1-30).

세데르(Seder) : 유월절 첫날 저녁에 각 가정에서 열리는 특별한 예배 의식으로서 중간에 식사시간이 포함되어 있다. ‘세데르’는 이러한 순서를 적은 책자를 읽으면서 진행되며, ‘순서’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9-20, 9-23, 9-24, 9-26, 9-28, 9-31, 9-32, 9-33, 9-37).

속죄식(贖罪式, Pidyon Haben) : 유대인 장남은 원래 하나님께 바쳐져야 하지만, 제사장에게 다섯 세겔을 속전(贖錢)으로 내면 그 의무를 면제받는 것으로 간주된다. 속죄식은 그 면제받는 의식을 말하며, ‘장남을 되찾다(피디욘 하벤)’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1-0, 1-17, 1-18, 1-19, 1-20, 1-21, 1-22).

속죄일(贖罪日, Yom Kippur) : 이스라엘 백성들이 금식하면서 하나님께 대한 죄를 회개하고 하나님과 화해하는 날이다. ‘대속죄일’ 참조

쇼파르(Shofar) : 행사나 절기때 부는 양각(羊角) 나팔을 말한다(A-1, 11-5, 11-6, 11-11, 11-12, 11-13, 11-14, 11-15, 11-50, 15-1).

쇼헷(Shochet) : 유대인의 훈련된 종교적 도살 전문가를 말한다(4-7, 4-9, 4-33).

수장절(收藏節, Hag Ha-asif) : ‘초막절’을 일컫는 다른 이름으로서 유대인의 추수감사제이다(12-2, 12-5).

수전절(修殿節, Hanuka) : 이방 신상(神像)으로 더럽혀진 예루살렘 성전을 정결케 한 것을 기념하는 날로서, 예수님도 수전절에 예루살렘 성전에 올라가신 적이 있다(요 10:22). ‘하누카’라는 이름으로 잘 알려진 절기이며, 계절적으로는 성탄절을 앞 둔 겨울이다(13-1). ‘하누카‘ 참조

수카(Sukka, Sukkot) : 초막절이 되면 유대인들은 지금도 뜰이나 베란다에 초막을 짓고 자녀들과 함께 출애굽 당시의 초막생활을 경험한다. 수카는 이 초막절기에 짓는 초막을 말한다(5-42).

수콧(Sukkot) : 이스라엘 백성들이 광야생활 40년을 기념하는 절기 즉 초막절을 말한다. 초막절은 유대인의 3대 절기에 속한다(A-3, 12-1).

슈미니 아쩨렛(Shemini Atzeret) : 초막절 마지막 날을 말한다(A-3, 3-84, 3-86, 10-8, 12-0, 12-21, 12-26, 16-7).

슈히타(Shechita) : 유대 율법에 규정된 방법에 따라 행하는 도살법을 말한다(4-9).

슐로쉼(Sheloshim) : 상을 당한 후 30일 동안의 애도 기간을 말한다(3-36, 3-56, 3-80).

슐한 아루크(Shulchan Aruch) : 16세기 스페인계 학자 요셉 카로가 집대성한 유대율법전으로서 오늘날까지 가장 권위있는 통일법전으로 인정받고 있다(A-1, 1-0, 5-3, 11-28).

쉐마/슈마(Shema) : ‘들으라’라는 뜻으로서 보통 ‘쉐마 이스라엘’이라는 말로 사용되었다(신 6:4)(1-13, 5-6, 5-20, 5-25, 5-32, 7-17, 7-18).

쉬바(Shiva) : 상을 당한 후 처음 7일(쉬바) 동안의 애도 기간을 말한다(3-36, 3-39, 3-43, 3-46, 3-50, 14-6, 15-14).

스파르디 유대인(Sephardic Jews) : ‘스파르디’는 ‘스페인’을 의미하는 히브리어이며, 스파르디 유대인이란 스페인, 포르투갈, 북아프리카, 서남아시아 출신의 정통파 유대인을 지칭하는 말이다(1-3, 1-24, 2-13, 2-36, 3-63, 5-11, 5-15, 5-22, 5-27, 6-33, 7-10, 7-27, 8-30, 9-9, 9-30, 12-20, 12-27).

스피라(Sefira) : ‘유월절’과 ‘오순절’ 사이의 7주간을 말한다(2-11, 9-49, 9-50, 10-5, 15-5).

신년(新年, Rosh Hashana) : 티슈리월 1일로서 유대인들은 1년 동안의 행운과 건강을 기원하는 마음으로 꿀을 바른 사과를 먹는다. 유대인들은 또한 이 날부터 대속죄일인 10일까지 근신하면서 지낸다(A-1, A-3, 2-14, 3-83, 7-0, 9-28, 11-0, 11-2, 11-5, 11-9, 11-15). ‘로쉬 하샤나’ 참조

심핫 토라(Simchat Tora) : ‘토라를 기뻐하다’라는 뜻이며, 모세가 시내산에서 토라 받은 날을 기념하는 축제를 말한다(A-3, 6-18, 12-0, 12-21, 12-26, 12-29).

 

<ㅇ>

아멘(Amen) : ‘정말로’ 또는 ‘그렇게 되기를 바랍니다(신 27:15)’라는 뜻이다. 탈무드에는 ‘주는 신뢰할 수 있는 왕이시다’라는 뜻의 ‘엘 멜렉 네에만’이라는 세 단어의 첫 글자를 따서 만든 말이라고 기록되어 있다(3-61, 7-0, 7-13, 7-14, 7-15, 7-20).

아미다(Amida) : ‘서서 하는 기도’라는 뜻이다. 회당 기도 중에서 가장 중요한 축복기도로서 이때 회중은 모두 일어선다(5-25, 7-14, 7-16, 7-20, 7-21, 13-16, 14-6).

아슈케나지 유대인(Ashkenazic Jews) : 아슈케나지는 ‘독일‘을 의미하는 히브리어로서 프랑스, 독일, 동유럽 출신의 유대인들을 말한다(1-3, 1-24, 2-4, 2-36, 5-22, 5-27, 6-33, 7-27, 9-9, 12-20, 13-20).

아쩨렛(Atzeret) : ‘집회’라는 뜻이며, 탈무드에서는 칠칠절을 ‘아쩨렛’으로 불렀다(10-0, 10-4, 10-8).

아타라(Atara) : ‘왕관’이라는 뜻이며, ‘탈릿’ 윗부분에 꿰메어 놓은 띠를 말한다. 이 띠는 탈릿의 위와 아래를 분간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5-9, 5-13).

안식일(安息日, Sabbath) : 성경에 근거하여 안식하면서 하나님을 예배하는 날이며 유대인들은 이 날을 아주 소중하게 여기며 기뻐한다. 안식일은 금요일 해질 때 시작되어 다음날 해질 때 끝난다(A-1, 1-19, 2-25, 3-21, 4-32, 5-54, 6-17, 6-20, 8-0, 8-1, 8-2, 8-4, 8-21, 8-31, 9-21, 11-10, 11-32, 13-10, 15-2, 15-13, 16-3).

알리야(Aliya) : 회당에서 토라 또는 축복문을 낭독하는 일 또는 낭독하도록 지명받는 것을 말한다(1-23, 2-8, 3-54, 6-7, 6-19, 6-28, 7-10, 11-47, 12-0).

야르짜이트(Yahrzeit) : 사람이 죽은 날을 기념하는 추도일로서 16세기부터 시작된 유대인 풍습이다(3-75, 8-36).

에봇(Ephod) : 대제사장이 제사장의 일을 할 때 입던 예복을 말한다(6-12).

예루살렘 탈무드(Jerusalem Talmud) : ‘바벨론 탈무드’에 앞서 팔레스타인에 살던 아모라임 학자들이 미쉬나를 연구하면서 거기에 주석이나 해석을 추가한 책이다(A-1, 2-16, 9-20).

예쉬바(Yeshiva) : 유대인들이 토라를 공부하는 토라 학교를 말한다(10-16, 13-19).

오순절(五旬節, Pentecost, Shavuot) : 유대인의 3대 절기인 칠칠절의 다른 이름이다. 유월절 다음날로부터 7주째 되는 날이며, 유대인들은 모세가 시내산에서 토라를 받은 날로 기념하기도 한다(1-30, 2-11, 10-0, 10-5, 10-9, 12-5).

요세푸스(Flavius Josephus) : AD 66∼73년 사이에 벌어진 제1차 로마항쟁에서 유대군의 갈릴리지구 지휘관으로 활동하다가 요드파트 전투에서 로마군에 투항한 후 방대한 역사적 사실을 기록한 역사가이다. 그의 투항은 비난을 받으나, 그가 기록한 방대한 자료는 당시의 상황을 생생하게 전해주고 있으므로 높이 평가받고 있다(3-5, 9-2).

욤 키푸르(Yom Kippur) : ‘속죄일’을 가리키는 히브리어이다(A-3, 3-83, 11-0). ‘속죄일’ 또는 ‘대속죄일’ 참조

월삭(月朔, Rosh Chodesh) : 유대 달력의 매월 첫째날을 말한다(1-23, 1-29, 6-20, 7-6, 10-7, 15-0, 15-1, 15-2).

유대력(-曆, Jewish calendar) : AD 359년 산헤드린 공회가 만든 달력으로서, 달의 공전을 기준으로 한 음력이면서도 절기와 계절이 연계될 수 있도록 윤달을 둔 것이 특징이다(A-2, A-3, 3-78, 8-1, 8-3, 9-3, 15-3, 16-3, 16-4, 16-5, 16-7).

유월절(逾越節, Pesach, Passover) : 니산월 14일, 이스라엘 백성이 애굽에서 탈출하기 직전에 경험한 구원의 사건을 기념하는 절기이다(A-1, A-2, A-3, 4-25, 9-0, 9-1, 9-5, 9-6, 9-12, 9-13, 9-23, 10-5, 16-6). ‘하가다’ 참조

이디쉬(Yiddish) : 독일어와 히브리어에 바탕을 둔 중세 히브리어를 말한다(1-15, 2-8, 2-21, 4-12, 4-29, 5-51, 6-8, 7-30, 8-12, 11-27, 12-17, 13-17, 16-12). 참고로 스페인어와 히브리어에 바탕을 둔 말은 ‘라디노’라고 한다.

이즈코르(Yizkor) : 유대인의 추도 즉 죽은 자들을 기념하는 기도로서 하나님에 대한 믿음과 죽은 친족에 대한 사랑을 고백하는 긍정적인 기도문이다(3-77, 3-84, 11-48, 12-27).

 

<ㅈ>

정결탕(淨潔湯, Mikva) : 유대인들이 절기나 안식일 전에 목욕할 때 사용하는 목욕탕을 말한다(16-14). ‘미크바’ 참조

정족수(定足數, Minyan) : ‘카디쉬‘를 낭송할 수 있는 열 명 이상의 성인 숫자를 말한다(16-15, 3-88, 3-22, 6-34, 6-35). ‘미니얀’ 참조

제33일절(Lag B’Omer) : ‘Lag’는 숫자 33을 나타내는 히브리어이며, 유월절로부터 제33일째 되는 날을 말한다. 이 날은 로마군과 전쟁중이던 바르 코크바 반란군에게 창궐하던 전염병이 약하여진 날이므로 좋은 날로 기념된다(A-3, 2-12, 15-0, 15-5, 15-6).

조하르(Zohar) : 유대교 ‘카발라’ 신비주의의 기초 경전으로서 ‘화려함’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우주의 기원과 구조, 영혼 등 여러 주제를 엮어 만든 여러 권의 책으로서 AD 2세기 랍비 쉬몬 바르 요하이가 신비주의적 관점에서 토라를 풀이한 해설서이다(5-34, 7-12, 10-10, 15-6).

 

<ㅊ>

초막절(草幕節, Sukkot) : 이스라엘 백성들이 광야생활 40년을 기념하면서 지키는 절기로서 유대인들의 3대 절기에 속한다(A-3, 5-42, 6-31, 7-0, 12-0, 12-1, 12-2, 12-3, 12-23).

초실절(初實節, Chag Ha-bikurim) : 칠칠절의 다른 이름으로서 오순절로도 불렸다. 초실절이라는 이름은 그것이 농업 명절이었음을 알게 해 주며 늦은 봄, 즉 밀을 수확하는 시기에 지키는 명절인 만큼 유대인들은 성전에 추수감사 제물 드리는 일을 빠뜨리지 않았다(10-0).

칠칠절(七七節, Shavuot, Feast of Weeks) : 유월절 다음날로부터 7주만에 맞는 유대인의 3대 절기이며, ‘오순절’이라고도 한다(A-3, 2-11, 9-49, 10-0, 10-1, 10-3, 10-4, 10-5, 10-9, 10-14).

 

<ㅋ>

카디쉬(Kaddish) : 회당 예배때 낭송되는 ‘애도자의 기도문’을 말한다. 고대시로서 아람어로 기록되어 있다(3-0, 3-22, 3-56, 3-57, 3-88, 4-2, 7-3, 7-14).

카발라(Kabbala) : 유대교 신비주의 철학을 말한다. 이스라엘 북부 갈릴리지방에 있는 Safed(Tsfat 쯔팟)는 카발라의 중심지로 잘 알려져 있다(1-3, 2-34, 3-11, 5-1, 5-34, 5-46, 7-23, 8-22, 8-34, 15-6).

카쉐르(Kasher) : 영어 ‘코셔’에 해당하는 히브리어로서 일반적으로는 정결한 음식을 말한다. 유대인 식사법에 따라 음식을 정결하게 하는 과정을 말할 때에도 사용된다(4-3, 4-17, 9-12).

카슈룻(Kashrut) : 유대인의 식사법 즉 부정한 음식을 삼가고 정결한 음식을 먹도록 규정한 율법을 말한다(4-1, 4-32).

코셔(Kosher) : 유대인 식사법에 따라 준비된 정결한 음식을 말한다(4-1, 4-3, 4-24, 4-32, 5-33). ‘카쉐르’ 참조

코하님(Kohanim) : 코헨의 복수형이다(7-24, 7-25). ‘코헨’ 참조

코헨(Kohayn, Cohen) : 복수는 Kohanim이며, 제사장 가족을 말하는 단어이다. 그들의 임무는 성막과 성전에서 종교의식을 행하는 것이었다(2-6, 3-67, 6-23, 6-24).

콜 니드레(Kol Nidre) : 제대로 알지 못하는 상태에서 한 서약이나 강요에 의한 서약들을 무효화시키는 기도이며, ‘모든 서약들’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11-0, 11-42, 11-43, 11-44, 11-45).

크두샤(Kedusha) : 묵도의 일부분으로써, 예배시간에 읽는 기도문을 말한다(2-0, 4-2, 7-16, 7-22, 7-23).

크리아(Keria) : 애도하는 사람이 옷을 찢는 풍습을 말한다. 성경에서 유래되었으며, 유대인의 오랜 관습으로 남아 있다(3-24, 3-25, 3-26, 3-28).

크투바(Ketuba) : 유대인의 결혼 계약서로서 BC 80년 쉬몬 벤 쉐타흐가 만들었다. 아람어로 작성된 이 계약서에는 신랑이 신부에게 져야 할 의무사항, 즉 의식주와 성생활, 자녀교육 등에 대한 내용이 적혀있다. 증인들이 서명을 하도록 되어 있으며, 법률적 효력을 가진다(2-22, 2-27, 2-30, 2-44).

키두쉬(Kiddush) : 안식일과 명절에 추가되는 식사 기도로써, 천지창조와 출애굽에 대한 감사가 핵심이다(8-18, 8-24, 8-28, 8-30, 8-38, 11-24, 12-26).

키텔(Kittel) : 고대 유대인들이 회당에서 입던 흰색의 긴 겉옷을 말한다. 현대에는 유월절 밤 축제 때에 입으며, 정결을 상징하므로 결혼하는 신랑도 이 옷을 입는다. 경건한 유대인들은 시신에 키텔을 입히기도 한다(2-19, 3-8, 9-28, 11-16).

키파(Kipa) : 유대인 남자들이 머리에 항상 쓰고 다니는 작고 테두리 없는 모자를 말한다. 출애굽기 28장 4절에는 ‘관(冠)’이라는 말로 사용되었다(A-1, 5-51).

 

<ㅌ>

탈릿(Talit) : 유대인 남자들이 기도할 때 뒤집어 쓰는 커다란 숄을 말한다(A-1, 1-25, 2-9, 2-18, 4-3, 5-0, 5-1, 5-6, 5-10, 5-15, 5-24, 5-28, 6-14, 7-10, 11-42).

탈릿 카탄(Talit katan) : 겉옷으로 만든 탈릿은 일상 생활에서 사용하기에 불편하므로, 속옷으로 입을 수 있도록 개량한 ‘작은 탈릿’을 말한다. 작은 탈릿의 네 귀퉁이에는 술이 달려 있다(5-14, 5-15).

탈무드(Talmud) : 성문 율법 외에 구전되어 오던 율법을 기록한 미쉬나와 거기에 다시 주석을 추가한 탈무드를 통틀어 지칭하는 말이다. 참고로 미쉬나는 랍비 아키바 등이 주도하여 AD 3세기 중엽에 편찬되었고, 탈무드는 이 미쉬나를 본문으로 하여 그마라(주석)가 추가된 책으로 4세기 후반에 예루살렘 탈무드가 편찬되었다. 그리고 한 세기 후에는 예루살렘 탈무드를 참고하여 바벨론 탈무드가 편찬되었다(A-1, 1-6, 2-0, 4-7, 5-4, 6-7, 7-25, 8-4, 9-4, 13-4, 16-19).

탈무드시대(Talmudic times) : 예루살렘 성전이 파괴된 AD 70년부터 500여년간을 말한다(A-1, 2-2, 2-31, 3-11, 3-57, 5-24, 8-15, 12-29, 14-7, 15-3).

토라(Tora) : 유대교에서 가장 신성시하는 경전으로서 원래 모세오경을 가리키는 말이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유대학문 전체를 가리키는 말로 확대되었다(A-1, A-4, 1-23, 3-90, 5-15, 5-33, 6-4, 6-5, 6-6, 10-0, 10-1, 10-7, 10-13, 10-18, 12-29, 14-10, 16-18).

트필라(Tefila) : 트필린의 단수형이다(5-1, 5-16, 5-20, 5-22, 5-25, 7-16). ‘트필린’ 참조

트필린(Tefilin) : 성경에서는 ‘경문(經文)’이라는 단어로 사용되었으며, 성경 구절을 쓴 양피지 조각을 넣은 가죽상자를 말한다. 이 가죽상자에는 끈이 달려 있어서 기도하기 전에 팔뚝과 이마에 부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경문’ 참조). 단수는 트필라(Tefila)이지만, 단수로 사용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4-3, 5-0, 5-16, 5-17, 5-24, 5-26, 5-47, 7-9).

티샤 베아브(Tisha B’Av) : 아브월 9일, 예루살렘 성전이 파괴된 것을 기념하는 날이다(A-3, 2-15, 5-1, 6-37, 15-10, 15-11, 15-15).

 

<ㅍ>

페싸흐(Pesach, Passover) : ‘유월절’에 해당하는 히브리어이다(9-1, 9-54, 10-5, 15-0). ‘유월절‘ 참조

피디욘 하벤(Pidyon Haben) : 제사장에게 다섯 세겔의 속전(贖錢)을 내고 ‘장남을 되찾는 의식’이다(1-17). ‘속죄식’ 참조

피유팀(Piyyutim) : 2차 성전이 무너진 이후에 기록된 ‘유대 종교 시(詩)’들은 기도문으로 활용되었는데, 특히 대제일 기도서에는 반드시 이 시들이 포함되었다. 피유팀은 이 기도문을 말한다(10-10, 11-19).

 

<ㅎ>

하가다(Haggada) : 유월절 첫째 날 저녁 만찬에서 사용하는 얇은 예식서를 말한다. 출애굽의 극적인 이야기를 소재로 한 시편과 기도 등을 예배 순서대로 기록한 책이다(A-1, 9-14, 9-24, 9-29, 9-45).

하누카(Hanuka) : BC 165년, 유다 마카비와 그의 사형제가 시리아계 그리스인들을 물리치고 예루살렘 성전을 탈환하여 등대에 불을 밝힌 사건을 기념하는 절기이다(A-1, A-3, 13-0, 13-1, 13-6). ‘수전절’ 참조

하브달라(Havdala) : ‘분리’ 또는 ‘구분’의 뜻을 가진 히브리어로서, 안식일이 끝난 후 안식일과 세속의 6일을 구분하는 축복 의식을 말한다(8-3, 8-37, 8-38, 8-39).

하시드(Hassid) : 초정통파 유대인을 말한다(2-20, 5-27, 5-52, 5-55, 7-0, 11-29). ‘하시딤’ 참조

하시딤(Hassidim) : 동유럽에서 나타난 신비주의적 유대교도를 말하며, 오늘날 예루살렘에서 검은 옷을 입고 다니는 유대인들은 대부분 하시드파에 속하는 사람들이다. 단수형은 ‘하시드’이다(13-19, 14-17).

하프타라(Haftara) : 안식일이나 명절 때 토라를 읽고 난 후에 추가로 읽는 예언서를 말한다(1-27, 6-26, 6-29, 11-49).

할라(Halla) : 안식일이나 다른 명절 때 먹는 예식용 빵을 말한다(A-4, 8-25, 8-27, 8-29, 8-36, 9-53, 10-17, 12-25).

할라카(Halacha) : 유대교 율법 즉 유대인들이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를 가르치는 율법을 말한다(A-1).

할렐(Hallel, Psalms of praise) : 찬송시(讚頌詩)를 말한다(7-16, 11-17, 12-20, 13-14, 15-0).

할례(割禮, Brit mila) : ‘포피(包皮)’ 즉 남자 아이의 생식기 끝부분을 자르는 행사로서, 유대인에게는 일생 중 가장 중요한 의식이요 계명이다. 히브리어 ‘브리트’는 ‘약속’이라는 뜻이다(1-0, 1-4, 1-23, 13-1, 16-14).

호산나 라바(Hoshana Rabba) : ‘큰 구원의 날’이라는 뜻이며, 초막절의 마지막 즉 일곱 번째 날을 말한다. 유대인들은 이날에 시내버들 가지를 바닥에 내리치면서 마지막 죄까지 다 털어내는 의식을 행한다(A-3, 2-25, 11-10, 11-36, 11-38, 12-0, 12-21, 12-22, 15-0).

홀로코스트(Holocaust) : 일반적으로 대학살 또는 유대인 대학살을 말한다. 그러나 이 책에서는 나치 대학살 때 죽은 유대인 영령을 추념하는 날(니산월 27일)을 말한다(15-20).

회당(Synagogue) : 유대교의 예배는 원래 예루살렘 성전에서 드리는 제사였으나 BC 586년, 바벨론에 의해 성전이 무너지자 유대인들은 거주지 곳곳에 회당을 지어 예배를 드리게 되었다. 이 회당은 2차 성전이 지어진 후에도 그대로 존속되었으며, 초대교회도 회당의 모습을 본 뜬 부분이 많다(A-1, 1-14, 2-17, 3-31, 5-11, 5-41, 5-46, 6-0, 6-3, 7-0, 8-9, 10-14, 11-0, 12-0, 13-14, 14-1, 15-2).

후파(Chupa) : 비단, 공단 또는 벨벳으로 만든 큰 천을 장식하여 네 개의 기둥으로 받친 유대인의 결혼식 천막을 말한다(A-1, 2-17, 2-18, 2-24, 2-27, 2-38).
<출처 : 세계기독교박물관 www.segibak.or.kr 유대인들은 왜?>


 

This entry was posted in 자료실 Reference Board. Bookmark the permalink.
No.TitleWriterDateHit
90 목사의 자기 점검 수칙 33가지 webmaster 2013.06.12 3148
89 6 Guidelines for Preaching to Postmodern webmaster 2013.06.01 2856
88 부흥의 열쇠:예배 인도자와 예배팀의 역할 webmaster 2013.05.30 3209
87 모라비안(Moravian)은 누구인가? webmaster 2013.05.23 15832
86 1903년 대부흥운동의 선각자 캐나다인 하디선교사와 자녀들 webmaster 2013.05.23 3309
85 유대인 단어 이해(ㄱ-ㅎ)-세계 기독교 박물관 webmaster 2013.05.23 1698
84 동생 찰스 웨슬리(Charles Wesley)의 회심 webmaster 2013.05.22 3428
83 웨슬리신학(홍삼렬목사, 산타클라라 KUMC) webmaster 2013.05.22 3444
82 요한 웨슬레(John Wesley)의 발자취를 따라 webmaster 2013.05.19 14439
81 한국을 아십니까? (Do you know the country Korea) webmaster 2013.05.10 3710
< Prev ... 1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3 ... Next > 

롱아일랜드연합감리교회 Long Island Korean United Methodist Church
486 Town Line Rd., Commack, NY 11725 | Tel (631) 508-9135
COPYRIGHT © 2012 Long Island Korean United Methdist Church.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Long Island Korean United Methodist Chu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