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육과 훈련
Nurturing & Training

꿈나무사역 Infant & Elementary
유스그룹 Youth Group
청년부 College & Young Adult
경로대학 Silver College
웨슬리속회 Wesley Class Meeting
성서대학 Bible College
교회생활지침 Church Life Guidance
자료실 Reference Board
        자료실 Reference Board

아펜젤러(Rev, H.G. Appenzeller)선교사의 마지막 강연

헨리 아펜젤러/노종해 선교사 역
——————————————————————
(역자 주)-이 글은 아펜젤러(Rev, H.G. Appenzeller)가 1901년 1월 21일 필라델피아에서 모인 전도자 모임에서 강연한 글이다. 아펜젤러는 여기서 귀국하여 1902년에 순직하였으므로 이 글은 그의 한국선교에 대한 마지막 강연이 되었다. 여기서 그의 거침없는 한국선교의 열정을 느낄 수 있고, 한국사회와 문화에 대한 이해와 한국선교 회고와 현황, 전망 등이 한국 감리교뿐만 아니라 한극근대사 이해에도 좋은 자료가 될 것으로 보아 번역하였다. 이 자료는 비공개 “아펜젤러 친필문서” 중에 포함된 것 중에서 발굴한 것이다.

* 한국선교의 개척들-맥클레이, 가우쳐, 아펜젤러(좌측에서부터. 종로중앙교회 전시)

image한국 사람들이 흔히 말하듯 거두절미하고 본론으로 들어가겠다.

먼저, 이 나라의 이름은 “코리아”도 아니고 “조선”도 아니고 “대한”이다. 왕이 제국의 칭호를 쓰기로 하면서 국호가 바뀌었다. 그리고 왕실의 자색이 제국의 황색으로 바뀌었다. (중략)
인구는 분명치 않으나 750만이 넘는 정도라고 한다. 그러나 우리 교회에서는 매주일 한국의 기독교인들이 “대한 이천만 동포”를 위하여 기도하는 소리를 들을 수 있다. 정확인 수자는 1,000만에서 1,200만 정도인 것 같다. 이 나라는 13개의 도와 364개의 행정구역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11마일 정도는 러시아와 접하고 있다. 작고 얕은 강인 두만강이 동쪽에서 러시아와 한국 사이를 흐르고 있고, 압록강이 서쪽에서 한국과 중국을 갈라놓고 있다.(중략)
서울(Seoul)은 수도 즉 “통치자가 거주하는 곳”이란 뜻이다. 서울은 왕국에서 가장 큰 도시로, 한강에서 3마일, 제물포에서 26마일 된는 곳에 있다.—도시 서쪽의 한 언덕 위에 우리 학교가 서 있다. 베란다에서 내다보 이는 경치는 매혹적이다. 해태와 그 북쪽 왼편에 있는 삼각산과 오른쪽의 남산 그리고 이러한 산들 사이에 분지를 이루고 있는 인구 196,898(지난해 통계)명의 도시를 보노라면 방문객들은 종종 시편 기자의 말, “산들이 예루살렘 주위를 둘러싸고 있으니”를 생각해 내어 이 도시의 아름다움에 부치는 찬사로 되풀이하곤 한다.
진달래와 철쭉이 온 산을 뒤덮고 복숭아와 배 사과나무에 꽃이 만발하는 봄이 되면 서울 북문 밖의 산골짜기를 거니는 맛과 그 즐거움은 다른 어느 곳에서도 찾을 수 없다.—한국인은 자연의 아들이며 자연을 사랑한다. 그들은 시를 좋아한다. 그래서 봄이 되면, 다른 나라 젊은이들은 생각이 온통 사랑으로 가득 차게 될 때인데, 이 나라 젊은이들은 종이와 붓과 먹을 가지고 시원하고 외딴 골짜기를 찾아 거기서 떠오르는 새싹과 피어오르는 꽃에게서 영감을 받아 영혼의 아름다운 정취를 노래한다. 그런데 한국의 시는 사실적이기보다는 상징적이다. 모양과 상징과 형상을 소재로 한다. 우리는 완벽하고 세밀한 것을 원하나 한국인들은 아주 암시적인 것을 더 좋아한다.(중략)
한국에는 불교와 샤마니즘과 유교가 성행한다.(중략)—, 샤마니즘은 조상숭배와 함께 존속한다.(중략)—-, 유교는 윤지체계이다. 더 높은 존재에 대한 인간의 의무를 말하지 않기 때문에 그것은 종교가 아니다. 그것은 한국인들에게 “의무의 개념과 도덕의 기준”을 주었다.(중략)—. 유교가 500년간 한국에서 판치는 바람에 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억압적이고 가장 보잘것없는 통치체계를 가진 나라가 되었다.
정치적으로 한국은 지배자와 피지배자로 갈라져 있다. 한국인이 지은 한문고전이며, 학생이면 누구나 갖고 있는 조그만 책 “동몽선습”(Youth Primer)에는 왕이 가장 으뜸이고 선을 명령하고 모범을 보이되 죄악을 퇴치하는 분이라고 되어 있다. 귀족들도 그것을 인정한다. 왕은 과오가 없으며 “왕이 잘못됐다고 한 사람은 적으로 간주된다.” 이것은 확고한 교의가 되고 있으며 오늘날도 반도의 정치형태를 결정하고 있다. 왕이 그를 알고 있다는 구실로 드러나지 않는 강도질이 자행되고 있다. 강탈이 자행될 때 흔히 쓰는 말이 “어명이 내리셨다”는 말이다.(중략)
한국인들이 게으르다는 얘기, 한국에 기업이 없고 공장도 매우 드물거나 없다는 얘기가 있다. 한국인들이 가난하고 게으르고 무관심 한 것은 그들이 정부의 보호를 받지 못하고 산업을 일으킬 동기를 정부에서 빼앗아 가기 때문이다. 그들에게 적절한 자극을 주고 보호해 주고 지켜 준다면 그들은 검소하고 발전성 있는 백성임이 드러날 것이다.
1. 우리의 활동

* 가우쳐 박사와 첫 한국선교사들

image우리 교회는 이 나라에 들어가기로 결심했다. 선교의 아버지는 볼티모어의 가우쳐 목사(Rev. Dr. John F. Goucher)이다. 그는 처음으로 이 은든의 나라에 선교사업 펼 것을 제안하였고, 그 목적을 위해 3,00달러를 내놓았다. 그리하여 미 해군의 슈벨트 제독이 그 나라의 문을 연지 1년 후인 1883년에 선교사업을 제안하였고 그 제안은 1884년에 재개되어 2,000달러가 더 보태졌다.
1884년image에 일본 선교부의 감리사(Superintendent)인 맥클레이 목사(Rev. R.S. Maclay)가 선교본부(Board of Manager)의 지시에 따라 한국을 방문하였다. 당시 그는 권세를 쥐고 있던 개화파로부터 좋은 대우를 받았다. 그는 교육과 의료사업이 가능하다는 확신을 가졌으나 곧바로 복음을 전파하는 것에 대해서는 확신을 갖지 못했다. 맥클레이 박사(Dr. Maclay)는 의료사업과 교육사업의 시작을 권면하였고, 위원회가 그 권면을 받아들여 1884년 늦게 파울러(Fowler) 감독이 스크랜튼(Scranton)과 나를 한국선교사로 임명했다.
우리는 1885년 2월 3일 샌프란시스코를 떠났다. 일본에 도착하자 우리는 반도의 상황에 대한 보고가 진실된 것도 있고 거짓된 것, 과장된 것도 있음을 알아냈다. 이미 1884년 12월 반란이 일어나 서울에 있는 친일파들이 습격되고 죽거나 추방되었으며, 중국군과 일본군이 충돌해 있었고 한국의 고위 관료들이 살해되고-내각의 변화가 있었다-왕궁이 습격당했다. 한 달 후 팀을 나누어서 전도인과 그 부인이 먼저 답사를 떠나는 것이 가장 낫겠다고 생각했다.

image우리는 1885년 4월 5일 부활절 주일에 제물포에 도착했다. 날씨는 흐리고 음산했다. 기관사는 외곽에 닻을 내렸다. 우리 앞 1마일쯤 떨어진 곳에 오두막집들이 보일 듯 말 듯 하였다. 왼쪽에는 한강어귀의 황량한 섬이 보였다. 오른쪽으로는 파도치는 해안이 보였다.

환영의 인사말이란 찾아 볼 수 없었다. 우리는 지구의 끝은 아니라 할지라도 정말 먼 곳에 도착한 것이다. 그러나 뒤를 돌아다보니 “U.S.S. Ossipee”호에 달린 국기 속의 별과 줄들이 펄럭이는 것을 보았다. 1885년 4월 5일 부활절 오후만큼 내 나라 국기를 보면서 기뻐한 날은 없었다. 그것이 동방에서 휘날리는 한, 우리는 사역하고 기도할 곳을 갖게 될 것이다. 입항지는 황량했다. 일본식 호텔은 좁고 허술했다. 음식은 맛이 없었다. 침대와 담요와 식탁이 똑같이 분배되어져 있는 것 같았다. 정치적 상황은 겉으로 보기에는 아무 일 없는 것 같았으나 어둡고 무슨 일이 터질 것만 같았다. 서울에 있는 미군함의 선장은 서울로 가는 일과, 자기 배의 승객들을 상륙시켜 한국인들의 분노와 폭력이 한창인 곳에 그들을 떨어뜨려 놓는 일을 정중하게 한사코 반대하였다. 현지에 거주하고 있던 사람들은 왜 그렇게 빨리, 그것도 부적당한 때에 선교를 서두르는지 이해할 수 없다고 머리를 흔들었다.

전에 나는 이렇게 배웠다. 영사관 직원들과 가깝고 사교적인 관계를 갖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며, 해군을 추켜 주고 군함 장교들에게 특별한 관심을 보이고 항상 예절 바르며, 그들이 내 아내를 높이 평가할 때는 오후 커피가 특별히 뜨겁고 진하고 케이크는 특별히 가볍고 달다는 것을 알아야 하며, 그들에게 조언을 구할 때는 구체적인 사례에 국한해서 묻고 반드시 공적인 영역에 관한 것이어야 한다는 것 등을 배웠는데 당시의 젊은 선교사로서 나는 그런 것들을 이해할 수 없었다.
서울에 들어간 것은 1885년 5월 3일이다. 선교부는 부동산을 구입하여 서울 서쪽에 자리잡았다. 항 일은 많고 같이 일할 사람은 없었다. 집과 병원과 학교를 지어야 했고, 어려운 언어를 공부해야 했고 지방순회도 해야 했다. 우리는 사람들을 회심시키려 지방을 다녔지만 먼저 우리가 우리의 언어를 바뀌어야 한다는 것을 안 뒤에는 멀리 가지 않았다. 우리가 사용할 한국어 성서가 없었다. 나눠 줄 소책자도 없었다.
그런데 알고 보니까 한국사람도 우리의 선생이 될 만큼 자기 나라 말을 잘 아는 사람이 드물었다. 그러나 현명한 선생이 우리가 아는 것부터 시작해서 모르는 것으로 점차 가르쳤으므로 우리는 알아야 될 것, 알기 원했던 것을 배우게 되었다.
우리는 15년간이나 한국어 공부를 했고 지금도 계속 배우고 있다. 의료활동은 찾아온 환자를 치료함으로써 시작되었고, 학교는 공부를 지망한 첫 한국인을 가르침으로써 시작되었다.
첫 연례회(Annual Meeting)가 1885년 8월 17일에 열렸다. 보고내용은 회고보다는 앞날의 전망에 대한 것이었다. 추운 날씨가 닥치기 전에 우리는 집에 머무르며-꼭 그것은 아니다- 언어공부를 했다. 첫 세례는 1887년 여름에 거행되었고, 그 해 성탄절에는 지금 이 글을 읽고 있는 내가 감리교 설교자로서 최초로 한국말로 설교를 했다. 그 설교는 “그 이름 예수를 부르시기 바랍니다. 그 분은 자기 백성을 죄에서 구해 내시는 분입니다.”-아름다운 본문이다-로 시작하였다. 우리는 이 구절에서 벗어나지 않았으며, 하나님께서 허락하신 선교활동의 성공도 바로 이 구절 말씀에 근거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우리는 옛 복음을 설교하고 있다.

 

(역자주)

아펜젤러는 “한국선교의 아버지, 가우쳐”라 하였다. 가우쳐 박사는 한국 외에도 중국, 인도, 일본 등 해외선교에 비전을 가지고 헌금하며 추진시킨 분이다. 한국선교를 위해 2차례 걸쳐 5천불을 내 놓았을 뿐만 아니라(1883년, 1884년), 그 전에도 이미 일본선교와(1881년), 인도, 중국 등 선교 위해 수년 동안 25만 달러를 기부하였다. 또한 일본에 “Anglo-Japanes University in Tokyo” 설립을 위해 5천 달러와 교수급료로 8백 달러를 기부한 몸소 헌신한 인사이다. 한국선교위한 조건으로 선교부지와 교육, 의료부지 및 건물을 위한다는 조건으로 기부하여 한국선교의 기지를 마련한 분이다. 또한 미 감리회 선교부 위원으로 아펜젤러, 스크랜튼 등 한국선교사를 면접, 선발하고, 선교추진 시킨 분이기도 하다

메리 스크랜튼 여사는 1885년 가을에 선교부지를 위해 19채 한옥과 7천 여평의 대지를 마련한 비용이 670불이라 보고 하였음을 볼 때, 당시 가우쳐 박사님이 한국선교를 위해 기부한 헌금 5천 불이 얼마나 큰 거금인지를 가름 할 수 있다. 가우쳐 목사의 헌신으로 한국선교기지를 마련하였고, 선교사 비용 등 실제적인 선교사역에 얼마나 요긴히 사용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가우쳐 박사(1845.6.7.-1922.7.19.)는 선교지 한국을 1907년부터 1920년까지, 친히 6차례나 방문하여, 서울, 평양, 인천 등 교회뿐만 아니라, 배재, 이화학당과 연희전문학교 부지구입, 설립에 재정지원으로 헌신하였으며, 선교사들을 격려하고 후원하며, 실제적인 선교참여자 이셨다. 1926년 남.북 감리교회의 합동을 추진하던 때 연회에서 종로교회(현, 중앙교회) “가우쳐 박사 기념 교회”로 확장 건축하기로 결의하고, 한국감리교전국 교회가 동참하여 추진할 것을 결의하였다. 오늘 날에도 우리가 잊지 못할 “한국선교의 아버지, 가우쳐”를 기억하고, 이 분의 헌신적인 선교열정을 이어 나가, 복음전도와 교회의 사명 감당에 매진해야 한다.

This entry was posted in 자료실 Reference Board. Bookmark the permalink.
No.TitleWriterDateHit
430 종교개혁 500주년 -95가지 시선-이덕주교수 webmaster 2017.06.21 3392
429 Memorial Day:Why we remember webmaster 2017.05.29 2067
428 기도자들이 암송하고 사용해야 할 성경구절들 webmaster 2017.05.29 15472
427 뉴욕 웨슬리회심기념성회 webmaster 2017.05.22 2122
426 영국방문: 존 웨슬리의 발자취를 따라서(England:Following John Wesley’ Footprint) webmaster 2017.04.23 2829
425 Adopting Korean Culture webmaster 2017.04.14 1574
424 LIKUMC 교인묘지(pinelawn memorial cemetery) webmaster 2017.04.13 1597
423 마아세르(십일조)의 의미 webmaster 2017.04.09 2891
422 십자가의 길(Via Dolorosa)과 빌라도 법정 webmaster 2017.04.09 3576
421 종교개혁 특강-필립 멜랑히톤 webmaster 2017.04.04 1878
< Prev 1 2 3 4 5 6 7 8 9 10 43 ... Next > 

롱아일랜드연합감리교회 Long Island Korean United Methodist Church
486 Town Line Rd., Commack, NY 11725 | Tel (631) 508-9135
COPYRIGHT © 2012 Long Island Korean United Methdist Church.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Long Island Korean United Methodist Church